아파트나 빌라 주택 같은 주거공간의 경우 m2 단위를 쓰기도 하지만, 사람들에게 익숙한 단위는 아무래도 평 단위 입니다. 전형적인 아파트의 경우 16평, 24평, 30평, 50평 등의 사이즈를 통해서 대략적으로 머릿속에 어느정도 규모의 집이겠구나 하고 알수 있게 됩니다.
그렇지만, 얼마전부터 우리나라에서 기본 단위를 m2(제곱미터)르르 쓰기 시작하면서 공적인 사이트나 문서에 m2로 통일되기 시작했습니다.
1 (m2) 의 경우 가로세로가 1m 인 면적의 크기를 뜻합니다. 이 경우 일반 사람의 큰 보폭이 1m가 되기 때문에 생각하기 쉬울지 모릅니다. 하지만 20m2, 30m2, 100m2 의 경우 평 단위에 익숙한 우리의 경우 아파트의 크기를 짐작하기 쉽지 않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직까지는 아파트같은 주거형태의 면적을 볼때 평단위로 계산한뒤에 생각하고 있습니다.
가장 간단하게 계산하는 방법은 m2로 표기되어 있는 면적을 3.3으로 나누면 평단위 수치가 나오게 됩니다. 왜나하먄 1평이 3.3m2이기 때문이죠. 하지만 정수가 아니라 소수점 숫자이기 때문에 나누려고 해도 머릿속으로 쉽게 되기가 힘듭니다.
그렇기 때문에 좀더 편한 방법을 찾게 되었는데요. 첫번째로는 내가 찾고자 하는 아파트를 확인하는 방법, 그리고 두번째는 계산기를 통해서 평수를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아파트 평수 보는 방법1
포털사이트 '다음'에서 네이버 부동산을 검색하여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여기서는 예를들기위해 "현대아파트"를 검색해 보았습니다.
"현대아파트"를 클릭하고 시세/실거래가를 확인합니다.
압구정에 있는 현대아파트가 검색이 되죠?
여기서 시세/실거래가를 클릭해줍시다.
아래 114,115,116의 숫자가 보이시죠? 이게 단위면적인데 m2 단위로 보여줍니다.
여기서 오른쪽에 평을 눌러주어서 평단위로 바꾸어 봅시다.
114의 경우 34평으로 나오고 116의 경우 35평으로 나오네요. 위에서 말했듯이 1평이 3.3m2이기 때문에 114를 3.3으로 나눈값이 34평인 것이고 116을 3.3m2으로 나눈것이 35평인 것입니다.
덧붙이자면 소숫점이 있는 결과에서 소숫점은 모두 생략해버렸습니다.
아파트 평수 보는 방법
포털사이트 "다음"에서 전용면적 계산으로 검색하게 되면 위와같은 결과화면이 나오게 됩니다.
여기에서 단위를 제곱미터(m2) 와 평을 입력해줍니다.
위에서 나왔던 아파트의 면적인 104m2 를 입력해보았습니다. 결과값으로 31.46평이 나왔습니다.
마찬가지로 위에서 나온 면적인 106m2를 입력한 결과 32.065평이 나오네요.
위에서 나온 평수와 조금은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대략적인 m2단위를 평수로 나눈 환산표 입니다.
이 표를 이용하게 되면 대략적인 면적을 생각하기 편합니다.
댓글